기본

렉테나 디자인 검토(1부)

1.소개
RF(무선 주파수) 에너지 수확(RFEH) 및 방사 무선 전력 전송(WPT)은 배터리가 필요 없는 지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Rectennas는 WPT 및 RFEH 시스템의 초석이며 부하에 전달되는 DC 전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렉테나의 안테나 요소는 수확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확 효율은 수십 배로 수확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WPT 및 주변 RFEH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안테나 설계를 검토합니다. 보고된 렉테나는 두 가지 주요 기준, 즉 안테나 정류 임피던스 대역폭과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각 기준에 대해 다양한 응용 분야의 성능 지수(FoM)가 결정되고 비교 검토됩니다.

WPT는 수천 마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20세기 초 테슬라가 제안한 것이다. RF 전력을 수확하기 위해 정류기에 연결된 안테나를 설명하는 렉테나라는 용어는 1950년대 우주 마이크로파 전력 전송 애플리케이션과 자율 드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전방향, 장거리 WPT는 전파 매체(공기)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제한됩니다. 따라서 상업용 WPT는 주로 무선 가전제품 충전 또는 RFID를 위한 근거리 비방사 전력 전송으로 제한됩니다.
반도체 장치와 무선 센서 노드의 전력 소비가 계속 감소함에 따라 주변 RFEH를 사용하거나 분산된 저전력 전방향 송신기를 사용하여 센서 노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더 실현 가능해졌습니다. 초저전력 무선 전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RF 획득 프런트 엔드, DC 전력 및 메모리 관리, 저전력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로 구성됩니다.

590d8ccacea92e9757900e304f6b2b7

그림 1은 RFEH 무선 노드의 아키텍처와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RF 프런트 엔드 구현을 보여줍니다. 무선 전력 시스템의 엔드 투 엔드 효율성과 동기화된 무선 정보 및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는 안테나, 정류기, 전력 관리 회로와 같은 개별 구성 요소의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에 대해 여러 문헌 조사가 수행되었습니다. 표 1은 전력변환 단계와 효율적인 전력변환을 위한 핵심 구성요소, 각 부분별 관련 문헌조사를 정리한 것이다. 최근 문헌에서는 전력 변환 기술, 정류기 토폴로지 또는 네트워크 인식 RFEH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e173b9f210cdbafa8533febf6b5e46

그림 1

그러나 안테나 설계는 RFEH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전체적인 관점이나 특정 안테나 설계 관점(예: 소형화 또는 착용형 안테나)에서 안테나 대역폭과 효율성을 고려하지만 특정 안테나 매개변수가 전력 수신 및 변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세히 분석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RFEH 및 WPT 특정 안테나 설계 문제를 표준 통신 안테나 설계와 구별하는 것을 목표로 렉테나의 안테나 설계 기술을 검토합니다. 안테나는 엔드투엔드 임피던스 매칭과 방사 특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비교됩니다. 각각의 경우 FoM은 최첨단 SoA(SoA) 안테나에서 식별되고 검토됩니다.

2. 대역폭 및 매칭: 50Ω이 아닌 RF 네트워크
50Ω의 특성 임피던스는 마이크로파 엔지니어링 애플리케이션에서 감쇠와 전력 간의 절충을 초기에 고려한 것입니다. 안테나에서 임피던스 대역폭은 반사 전력이 10% 미만(S11< − 10dB)인 주파수 범위로 정의됩니다. 저잡음 증폭기(LNA), 전력 증폭기 및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50Ω 입력 임피던스 정합으로 설계되므로 전통적으로 50Ω 소스가 참조됩니다.

렉테나에서는 안테나의 출력이 정류기에 직접 공급되고 다이오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용량성 성분이 지배적으로 입력 임피던스에 큰 변화가 발생합니다. 50Ω 안테나를 가정할 때 주요 과제는 입력 임피던스를 관심 주파수의 정류기 임피던스로 변환하고 이를 특정 전력 수준에 맞게 최적화하기 위해 추가 RF 매칭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효율적인 RF-DC 변환을 보장하려면 종단 간 임피던스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안테나는 주기적 요소나 자기 상보적 기하학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무한 또는 초광대역폭을 달성할 수 있지만 렉테나의 대역폭은 정류기 매칭 네트워크로 인해 병목 현상이 발생합니다.

반사를 최소화하고 안테나와 정류기 사이의 전력 전달을 최대화하여 단일 대역 및 다중 대역 하베스팅(WPT)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렉테나 토폴로지가 제안되었습니다. 그림 2는 보고된 렉테나 토폴로지의 구조를 임피던스 매칭 아키텍처로 분류하여 보여줍니다. 표 2는 각 카테고리별 end-to-end 대역폭(이 경우 FoM)에 대한 고성능 렉테나의 예를 보여준다.

86dac8404c2ca08735ba2b80f5cc66b

그림 2 대역폭 및 임피던스 매칭의 관점에서 본 Rectenna 토폴로지. (a) 표준 안테나가 있는 단일 대역 렉테나. (b) 대역당 하나의 정류기와 정합 네트워크를 갖춘 다중 대역 렉테나(상호 결합된 여러 안테나로 구성). (c) 여러 RF 포트와 각 대역에 대한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를 갖춘 광대역 렉테나. (d) 광대역 안테나와 광대역 정합 네트워크를 갖춘 광대역 렉테나. (e) 정류기에 직접 정합되는 전기적으로 작은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일 대역 렉테나. (f) 정류기와 결합하기 위한 복소 임피던스를 갖는 단일 대역, 전기적으로 큰 안테나. (g) 다양한 주파수에 걸쳐 정류기와 결합하기 위한 복소 임피던스를 갖는 광대역 렉테나.

7aa46aeb2c6054a9ba00592632e6a54

WPT와 전용 피드의 주변 RFEH는 서로 다른 렉테나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안테나, 정류기 및 부하 간의 엔드투엔드 매칭을 달성하는 것은 대역폭 관점에서 높은 전력 변환 효율(PCE)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PT 렉테나는 특정 전력 수준(토폴로지 a, e 및 f)에서 단일 대역 PCE를 개선하기 위해 더 높은 품질 요소 매칭(낮은 S11)을 달성하는 데 더 중점을 둡니다. 단일 대역 WPT의 넓은 대역폭은 디튜닝, 제조 결함 및 패키징 기생에 대한 시스템 내성을 향상시킵니다. 반면, RFEH 렉테나는 다중 대역 작동을 우선시하고 단일 대역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가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토폴로지 bd 및 g에 속합니다.

3. 직사각형 안테나 디자인
1. 단일 주파수 렉테나
단일 주파수 렉테나(토폴로지 A)의 안테나 설계는 주로 접지면의 선형 편파(LP) 또는 원형 편파(CP) 방사 패치, 다이폴 안테나 및 역 F 안테나와 같은 표준 안테나 설계를 기반으로 합니다. 차동대역 렉테나는 다중 안테나 유닛으로 구성된 DC 조합 어레이 또는 다중 패치 유닛의 혼합 DC 및 RF 조합을 기반으로 합니다.
제안된 안테나의 대부분은 단일 주파수 안테나이고 단일 주파수 WPT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므로 환경적인 다중 주파수 RFEH를 추구할 때 여러 개의 단일 주파수 안테나를 상호 결합 억제 및 다중 대역 렉테나(토폴로지 B)로 결합합니다. 전원 관리 회로 뒤에 독립적인 DC 조합을 적용하여 RF 획득 및 변환 회로로부터 완전히 분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 대역마다 여러 개의 전력 관리 회로가 필요하며, 이는 단일 대역의 DC 전력이 낮기 때문에 부스트 컨버터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2. 다중 대역 및 광대역 RFEH 안테나
환경적 RFEH는 종종 다중 대역 획득과 연관됩니다. 따라서 표준 안테나 설계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이중 대역 또는 대역 안테나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RFEH용 맞춤형 안테나 설계와 렉테나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기존 다중 대역 안테나를 검토합니다.
CPW(동면 도파관) 모노폴 안테나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LP 또는 CP파를 생성하며 광대역 환경 렉테나에 자주 사용됩니다. 반사면은 격리를 높이고 이득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므로 패치 안테나와 유사한 방사 패턴이 생성됩니다. 슬롯형 동일 평면 도파관 안테나는 1.8~2.7GHz 또는 1~3GHz와 같은 여러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 대역폭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결합형 슬롯 안테나와 패치 안테나도 다중 대역 렉테나 설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림 3은 둘 이상의 대역폭 개선 기술을 활용하는 일부 보고된 다중 대역 안테나를 보여줍니다.

62e35ba53dfd7ee91d48d79eb4d0114

그림 3

안테나-정류기 임피던스 매칭
50Ω 안테나를 비선형 정류기에 매칭하는 것은 입력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토폴로지 A와 B(그림 2)에서 공통 매칭 네트워크는 집중 요소를 사용하는 LC 매칭입니다. 그러나 상대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통신 대역보다 낮습니다. 단일 대역 스터브 매칭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 및 6GHz 이하의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사용되며, 보고된 밀리미터파 렉테나는 출력 고조파 억제로 인해 PCE 대역폭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대역폭이 좁습니다. 이는 단일 대역 스터브 매칭에 특히 적합합니다. 24GHz 비면허 대역의 WPT 애플리케이션.
토폴로지 C와 D의 렉테나는 더 복잡한 매칭 네트워크를 갖습니다. 출력 포트에 RF 블록/DC 단락 회로(패스 필터)를 사용하거나 다이오드 고조파에 대한 반환 경로로 DC 차단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완전 분산형 라인 매칭 네트워크가 광대역 매칭을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정류기 구성 요소는 상용 전자 설계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 깍지형 커패시터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보고된 다른 광대역 렉테나 매칭 네트워크는 더 낮은 주파수에 매칭하기 위한 집중 요소와 입력에서 RF 단락을 생성하기 위한 분산 요소를 결합합니다.
소스를 통해 부하에 의해 관찰된 입력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것(소스 풀 기술이라고 함)은 집중 회로 또는 분산 회로에 비해 상대 대역폭(1.25~2.25GHz)이 57%이고 PCE가 10% 더 높은 광대역 정류기를 설계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매칭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전체 50Ω 대역폭에 걸쳐 안테나를 매칭하도록 설계되지만 문헌에는 광대역 안테나가 협대역 정류기에 연결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집중 요소 및 분산 요소 매칭 네트워크는 토폴로지 C 및 D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직렬 인덕터 및 커패시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집중 요소입니다. 이는 표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보다 더 정확한 모델링과 제작이 필요한 서로 맞물린 커패시터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피합니다.
정류기에 대한 입력 전력은 다이오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입력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렉테나는 특정 입력 전력 레벨과 부하 임피던스에 대해 PCE를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이오드는 주로 3G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용량성 고임피던스이므로 정합 네트워크를 제거하거나 단순화된 정합 회로를 최소화하는 광대역 렉테나는 Prf>0dBm 및 1GHz 이상의 주파수에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 그 이유는 다이오드의 용량성 임피던스가 낮고 잘 정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테나에 연결하므로 입력 리액턴스가 1,000Ω을 초과하는 안테나 설계를 피할 수 있습니다.
적응형 또는 재구성 가능한 임피던스 매칭은 CMOS 렉테나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매칭 네트워크는 온칩 커패시터 뱅크와 인덕터로 구성됩니다. 표준 50Ω 안테나와 공동 설계된 루프 안테나를 위한 정적 CMOS 매칭 네트워크도 제안되었습니다. 패시브 CMOS 전력 감지기는 사용 가능한 전력에 따라 안테나 출력을 다른 정류기와 매칭 네트워크로 보내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면서 미세 조정을 통해 튜닝하는 집중 조정 가능 커패시터를 이용한 재구성 가능한 매칭 네트워크가 제안되었다. 재구성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정합 네트워크에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스위치는 이중 대역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정합 스터브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안테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다음을 방문하세요.


게시 시간: 2024년 8월 9일

제품 데이터시트 받기